13일 실시된 20대 총선은 새누리당의 참패와 더불어민주당 및 국민의당의 선전으로 끝났다. 새누리당은 180석을 예상했으나 122석으로 그쳐 더민주의 123석에 뒤졌다. 국민의당은 38석을 확보, 제3당의 역할을 톡톡히 할 수 있게 되었다. 정의당은 6석, 무소속 11석이다.

새누리당은 4.13 총선에서 원내 다수당 지위를 빼앗겼지만, 탈당해 무소속으로 당선된 유승민을 비롯한 당선자 5명이 대부분 새누리당으로 복당할 것으로 예상돼 제1당의 형태는 가까스로 갖추게 되었다. 그렇지만 새누리당은 300석 중 167석 과반수를 획득한 야권의 더민주·국민의당·정의당에 주도권을 빼앗겨 소수 여당으로 전락되었다. 16년 만의 여소야대다. 박근혜 대통령은 여소야대 레임덕에 빠져 그토록 벼르던 국회선진화법 개정과 경제활성화·노동개혁 입법 등을 관철하기는 더욱 어렵게 되었고 대통령 지도력도 흔들리게 되었다.

4.13 총선은 여야의 지역감정에 기반한 전통적 영호남 텃밭을 일부 깼다. 호남권에서 새누리당 후보가 2명 당선되었는가 하면, 영남권에선 더민주 후보가 9명이나 뽑혔다.

4.13 총선 결과는 박 대통령의 오만과 불통에 대한 환멸 표출이었다. 박 대통령은 취임 초 부터 집권당과의 소통을 외면하고 고집으로 일관, 불통으로 통했다. 야당과의 소통에도 등을 돌렸다. 그러면서도 그는 국회가 국정의 발목을 잡는다며 국회 탓만 했다.

거기서 그치지 않고 박 대통령은 자신의 생각을 따르지 않으면 “배신의 정치”라며 가혹하게 보복했다. 유승민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건 ‘증세없는 복지’와 관련 ‘증세없는 복지는 허구’라고 지적하는 등 쓴 소리를 가끔 토해냈다. 그러자 박 대통령은 유 원내대표를 ‘배신의 정치’라고 질타, 원내대표에서 쫓아냈고 4.13 총선에서도 공천하지 않았다. 유승민과 가까운 의원들조차 몰아냈다.

박 대통령은 ‘통일 대박’론을 터트려 국민을 통일감상에 젖어들게 했다. 그러나 ‘통일 대박’은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연이은 미사일 발사로 너무 서둘렀다는 비판을 자초했다. 그는 중국의 눈치를 보느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의 주한미군 배치를 결정하지 못했고 국방주권도 행사하지 못한다는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베이징 텐안먼(天安門) 광장의 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함으로써 경솔했다는 지적도 면치 못했다. 어려운 경제도 여당표를 깎는 데 한몫했다. 4·13 총선 참패는 박 대통령의 저와 같은 오만·불통과 성급했던 ‘통일 대박’확산 및 중국 비위맞추기로 보수층의 이탈을 가져왔다.

한편 더민주와 국민의당 선전은 박 대통령의 오만·불통이 도와준 것 외에도 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의 중도온건 표방이 한몫했다. 김 대표는 더민주의 좌편향 운동권 정치를 비판했고 개성공단 중단을 지지하는 등 중도온건을 강조했다. 안철수 대표도 좌편향 투쟁방식을 거부하며 중도온건을 내세웠다.

4.13 총선에서는 모든 정당들이 정책과 비젼을 제시하지 못했다. 4.13 총선은 정책 대결 보다는 정치적 윤리와 인간적 신뢰 대결이었다. 좌편향 운동권 정치를 비판한 김 대표와 사업가로 성공한 안 대표의 중도온건 노선은 계파와 운동권 투쟁 정치에 진절머리난 유권자들의 마음을 끌었다. 박 대통령은 “민생 안정과 경제활성화에 매진하는 새로운 국회”를 탄생시켜야 한다고 역설하면서도 민생·경제 매진 대신 오만·불통으로 매진, 신뢰를 잃었다.

앞으로 20대 국회는 4.13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의 소재를 충실히 반영해야 한다. 4.13 민심은 박 대통령이 오만·불통을 깨야 하고 야권은 투쟁적 운동권 정치를 지양해야 하며 민생·경제를 위한 중도온건으로 나서야 함을 요구한다. 4.13 총선 당선인들은 ‘민심은 천심’임을 명심, 입으로만 존중한다고 외칠 게 아니라 국정에 충실히 반영해야 한다.

■ 본면의 내용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