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농촌지역의 축산 관련 환경문제는 지역사회의 민감한 문제로 대두-

[일요서울 | 경기북부 강동기 기자] 경기도 축산농가의 환경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현대화 사업의 투자를 확대하고 권역별 공동자원화시설을 중심으로 한 거점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7일 도 축사시설 내 악취 문제를 검토하고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을 다룬 ‘경기도 축사시설의 악취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농촌지역의 축산 관련 환경문제는 지역사회의 민감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축산 농가를 중심으로 수질오염, 악취 등을 관리하기 위해 투자가 확대되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축산 형태와 규모를 고려해 분석한 결과, 도내 축산 농가 중 악취방지시설 설치를 위해 비용지원이 필요한 가구는 양돈 816가구, 양계 385가구 등 1,201가구 규모로 추정된다.

또한 이들 축산 농가에 대한 현대화사업 비용은 총 1조5천억 원 규모로 예상된다. 이는 2016년 도 축사시설 현대화사업 지침에 따라 추정한 것으로 국비 3015억 원(20%), 도비 1508억 원(10%), 융자 9046억 원(60%), 자부담 1508억 원(10%) 규모의 재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 김동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도에서 광역단위로 공동자원화시설을 거점화해 축산농가의 악취문제를 집중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6대 권역별로 공동자원화시설을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6대 권역은 1권역(연천군·파주시), 2권역(포천시·동두천시·양주시), 3권역(가평군·남양주시·양평군), 4권역(여주시·이천시), 5권역(용인시·안성시), 6권역(화성시·평택시) 등이다.

또 도는 국비를 지원받아 가축분뇨 발생량이 큰 권역을 우선 사업 지역으로 선정하고 권역별로 공동자원화시설을 순차적으로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이어졌다.

김 연구위원은 “축산산업에서 악취관리, 분뇨처리, 수질개선, 유기농 상품화과 같은 산업 전반을 친환경적으로 전환하는 것은 축산산업의 발전과 국민 건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며 “축산분야 환경관리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축산농가의 적절한 악취관리시설 설치는 필수”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축산분야의 환경관리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전통적 사육 방식을 현대화하는 사업과 함께 분뇨의 저장과 운반, 처리시설 등에 관해서도 다양한 사업을 시행 중이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