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정권 출범 초기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권력의 최고 핵심부로 발탁된 고건 국무총리와 문희상 비서실장, 그러나 100일째를 맞고 있는 참여정부에서 그들의 역할과 평가를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연이은 정치사회적 갈등분출과 이익집단의 대규모 시위속에서 상황논리에 치중하고 대처가 미숙한 노무현 정부에 대한 신뢰는 곤두박질 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고건 총리를 비롯한 내각 역시 대통령 눈치보기에 제대로 된 대처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행정의 달인’이라는 닉네임까지 붙은 고총리는 뭘하고 있느냐는 비난까지 일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열린 한 방송국 토론회에 참석한 패널조차 “노대통령이 방미중이었던 최근에서야 고총리가 있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될 정도였다”며 고총리의 역할을 비판했다. 물론 일각에서는 “노대통령의 독선적 판단 때문에 총리가 나서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겠느냐”라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 책임총리와는 거리가 멀게 내각은 무력해졌다. 지난달 노대통령은 내각에 대한 책임운영을 고총리에게 맡긴다는 방침을 내세웠지만, 물류대란 등 각종 정책혼선에 고총리의 역할은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고총리만을 비난하는 목소리는 그리 많지 않다. 오히려 대통령의 독점적 국정운영 때문이라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노대통령이 지난 대선때 분권형 대통령제를 강조했던 만큼 고총리에게 소신껏 목소리를 내게끔 실질적 권한을 줘야 한다는 여론이 사회 각계에서 일고 있다. 비단 고총리만 거론되는 것은 아니다. ‘정치적 달인’이라는 평을 얻고 있는 문희상 비서실장의 얼굴도 보이지 않는다. DJ정부때 한광옥 비서실장 이나 김중권 비서실장이 자주 얼굴을 내비친 것과는 대조적이다. 비서실장이라는 막강한 자리에 앉아 있음에도 불구 오히려 문재인 민정수석이나 유인태 정무수석에 한발 밀려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일각에서는 노대통령이 자신의 측근인 문수석이나 유수석에게 힘을 너무 많이 실어주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그렇다 보니 문실장이 그 틈속에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은>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