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F와 LG텔레콤이 발신자표시(CID)요금을 무료화하는 대신 기본료를 올리는 ‘꼼수 정책’을 발표하여 소비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지난 18일 양사는 CID 부가 서비스를 무료화하는 대신에 기본 서비스 요금을 1,000~2,000원 올린 새로운 요금체계를 도입한 요금제를 2월초 출시하겠다고 발표했다. 한마디로 ‘눈 가리고 아웅’식의 처방인 셈이다.KTF, LGT의 CID 무료 서비스 발표에 대한 문제점과 향후 시장 전망을 짚어 본다.KTF와 LG텔레콤은 오는 2월부터 그 동안 논란이 됐던 CID 요금을 마침내 무료화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작 CID 요금 무료화를 가장 반겨야 할 KTF와 LG텔레콤 가입자들은 양사 발표 뒷면에 숨겨진 얄팍한 상혼에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이들 두 회사는 이달부터 SK텔레콤이 CID요금을 전면 무료화한데 따라 고객들의 반발을 우려해 조기 도입을 선언했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무료가 아닌 ‘유료를 가장한 편법’이라는 것. KTF와 LG텔레콤이 CID 요금 무료화에 따른 손실 보전을 1,000~2,000원 올린 신규 요금제 출시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 KTF와 LG텔레콤 가입자들은 다음 달 선보일 예정인 신규 요금제에서만 CID 무료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기존의 다른 요금제에서는 CID 무료 혜택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

LG텔레콤은 다음 달 출시될 신규 요금제의 기본요금을 기존 1만2,000원에서 1,000원 인상된 1만3,000원선에서 조정할 방침이라는 것. CID 요금을 슬그머니 기본료에 편입시키는 꼼수를 부린 셈. 결국 LG텔레콤 가입자들은 CID 요금 무료화에 대한 실질적인 혜택은 없는 셈이다. 무료화 서비스를 받으려면 그 만큼 인상된 기본 요금제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KTF도 LG텔레콤과 상황은 비슷하다. LG텔레콤처럼 기본요금 인상을 계획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어떤 형태로든 CID 요금 무료화에 따른 이익 감소분을 신규 요금제에서 만회하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KTF는 CID 무료 요금 혜택은 다음달 출시되는 신규 요금제에만 적용한다는 계획이다.CID 요금은 추가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서비스라는 것을 알고 있는 소비자들이 KTF와 LG텔레콤의 이 같은 ‘꼼수’를 이해할 리는 만무하다.

CID 무료 생색뒤 기본요금 인상 ‘비난’

소비자 단체는 소비자 기만행위라며 즉각 반발했다. 통신부가서비스제값찾기 소비자행동네트워크는 이날 성명을 통해 “LG텔레콤의 CID 무료화 결정을 환영한다”면서도 “당연한 CID무료화를 핑계삼아 기본료와 부가서비스 요금을 끼워넣기식으로 인상하려는 이동통신사들의 행태는 묵과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또한 서울YMCA 관계자는 “CID요금은 추가 투자가 필요없는 기본서비스이기 때문에 무료로 제공됐어야 하는데 사업자들이 지금까지 부당하게 요금을 받아왔다”며 “무료화를 표방하면서 기본료나 부가서비스가 인상된다면 다시 한번 소비자를 기만하는 것으로 이는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그간 국내 이동통신사의 CID 유료서비스 방침은 논란 대상이었다. 시민단체들은 “외국의 경우 무료로 기본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다.

더욱이 이동통신 기술상으로 볼 때 CID서비스에 요금을 부과할 만한 근거가 없다”며 전면 무료화 요구를 했다.현재 휴대폰 기술의 핵심은 바로 CDMA 기술. 이 기술 방식은 통화과정에서 전화 연결에 필요한 기본정보인 ‘AWI(Alert With Information, 호 기본정보)’를 통화 당사자의 단말기에 전송하게 되는데, 이 AWI안에 이미 발신자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것. 즉 발신자는 호출음이 들리기 전, 수신자는 벨소리가 울리기 전 이미 기지국과 교환기로부터 발신자의 전화번호, 즉 ‘Caller ID’ 등 통화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업계가 밝히고 있는 수백억원의 투자비용은 CID 서비스의 가입자와 비가입자를 구분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비용에 마케팅 비용을 더한 것으로 발신번호표시를 기본적인 서비스로 해 무료로 제공할 경우에는 이러한 비용 자체가 들지 않는다는 것. 지난 2001년부터 2005년 상반기까지 이동통신 3사가 발신자 정보 표시 및 문자메시지 서비스(SMS)를 통해 벌어들인 돈은 약 2조 3,000억원. 2005년 정보통신부의 자료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로 1조 1,336억원, 문자메시지 서비스로 1조 2,204억원의 매출 실적을 올렸다고 밝혔다.

업체별로는 SK텔레콤 1조 3,000억원, KTF 6,670억원, LG텔레콤 3,790억원 순이었다. 소비자단체의 한 관계자는 “CID 요금 무료화에 따른 손실이 선발업체인 SK텔레콤보다 심각하다는 형편은 이해되지만 단기적인 수익성만을 고려해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의 근시안적 발상으로 가입자들을 속이려 든다면 서비스 산업의 기본인 소비자의 신뢰를 잃을 수 있다”면서 “특히 번호 이동성이 활성화돼 있는 상황에서 서비스 업체들에 대한 신뢰가 사라지면 소비자들은 언제든지 경쟁 서비스 업체로 떠날 수 있다”고 경고한다. KTF와 LG텔레콤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자신들의 뱃속만을 생각하는 KTF와 LGT의 행동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자신들의 매출감소를 또다시 고객들의 주머니에서 챙기려하는 의도는 분명 고객을 우롱하는 처사가 아닐 수 없다”고 비난하고 있다.CID 요금 무료화와 관련된 KTF와 LG텔레콤의 방침이 자칫 ‘소도 잃고, 고칠 외양간마저 잃게 되는 결과’로 연결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소비자단체 “베일속 문자메시지(SMS)요금 원가 밝혀라!”요구

소비자단체에선 CID요금 무료화 요구 주장에 성공을 거둔 뒤 SMS 요금 적정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나섰다. 지난 2005년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에 따르면 SMS의 경우 초기에 정보통신부(이하 정통부)가 패킷당 요금제를 제안했지만 이동통신회사들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건당 30원으로 담합했다고 밝혔다.SKT는 1997년 10월 SMS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다가 1998년 1월 상용화하면서 10원을 부과했고, 1999년 5월에는 20원, 지난 2000년 2월부터는 30원을 받고 있다는 것.

또한 KTF와 LGT는 1998년 2월, PCS 서비스 시작 당시부터 SMS 건당 30원을 받고 있다.SMS서비스 원가는 이동통신사들과 정통부가 ‘영업상 기밀’이라는 이유로 정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 SMS요금에 대한 적정선은 무선인터넷 데이터 패킷 요금과 단순 비교 계산해볼 수 있다. 1패킷은 521byte이다. 현재 SMS 한 건당 데이터 용량은 80byte로, SMS 6.4건당 1패킷이다. 무선인터넷 패킷 요금과 단순 비교했을 때, 무선인터넷에서 텍스트 파일의 경우 1패킷당 6.5원이 부과되므로 최소 SMS 6개를 보낼 때 6.5원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521byte 이하의 파일에 대해 무조건 1패킷 단위로 과금한다 해도 SMS 한 건당 6.5원이 된다.

SMS 요금 부과 부당

한편 SMS 요금 산정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SKT와 KTF와는 달리 LGT는 지난 국정감사 당시 SMS 1건당 실질적 요금을 12.3원으로 제출한 바 있다. 결국 SMS 원가가 얼마이든 간에 현재의 30원은 원가 대비 최소 두 배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소비자단체의 한 관계자는 “원래 SMS 서비스는 송신자의 문자메시지가 SMSC(Shot Message Service Center)에서 저장됐다가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시스템이다. 현재 음성통화와 설비를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다. 만약 수신자가 문자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이면 SMSC에 저장돼 있다가 수신자의 단말기에 재전송된다.

이 과정에서 수신자 단말기에 대한 위치 추적이 필요하지만 이는 음성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도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기능으로 SMS 요금에 집중 부과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 따라서 실제 시설의 유지·보수비를 제외하면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동통신사가 별도로 부담해야 하는 비용은 거의 없다”면서 “SMS요금도 적정선에 대해 논란 여지가 남아있다. 하루 빨리 이동통신3사는 원가를 공개하고 요금을 현실화해야 할 것이다”라고 말한다. CID 무료화에 이은 SMS 서비스 역시 이동통신업계에 본격적인 논란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 현대 ‘M’카드 파란 일으키다

현대카드는 단일 카드로 최대 350만명 회원을 확보하며 시장점유율은 10%를 돌파, 메이저 카드사로의 도약을 눈앞에 두고 있다.지난 2002년 현대카드가 ‘M카드’를 내놓고 영업을 시작했을 때 경쟁사들은 바짝 긴장했다.현대자동차그룹이라는 든든한 ‘지원군’의 도움으로 현대차 구입시 일정금액을 먼저 할인해주고, 나중에 적립된 포인트로 할인금액을 갚아 나가도록 하는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들고 나왔기 때문. 그러나 회사 안팎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2002년부터 조짐이 보이기 시작한 신용위기의 파고에 부딪혀 위기를 맞았다.2002년 한 해 동안 1,450억원대의 적자를 내고 존폐의 위기를 걱정하던 현대카드는 정몽구 현대차 회장의 사위인 정태영 사장이 부임하면서 주력상품인 M카드의 전면 리뉴얼이라는 특단의 대책을 내놓았다.

현대카드가 기존 M카드의 디자인과 서비스 내용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재탄생시킨 ‘현대카드M’은 혁신적인 마케팅 전략을 잇따라 선보이며 업계에 돌풍을 일으켰다.히트영화<올드보이><스캔들> 등 유명 한국 영화들의 영화 속 장면들을 패러디한 광고와 조지 H 부시 전 미국 대통령 등의 닮은꼴 모델들에게 미니스커트를 입혀 등장시킨 광고 등 금융권에서는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파격적인 광고를 잇따라 제작해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기존 신용카드보다 사이즈를 축소시킨 미니M이나, 보티첼리 라파엘로 등의 그림을 새겨넣은 갤러리 카드 등을 통해 젊은 소비자들의 욕구도 충족시켰다.또한 가맹점주들에게 가맹점 매출의 일정비율을 포인트로 적립해줘 고객충성도를 높이는 가맹점주용 현대카드M도 최근 선보였다.

현대카드는 상위 5%를 겨냥하여 한도 연회비 100만원, 월한도 1억원의 `블랙카드`에 이어 연 회비 30만원, 월 최소한도 1000만원급의 프리미엄 카드를 내놨다. 퍼플카드의 대상은 연봉 1억원 수준의 대기업과 외국계 기업 부장급 이상, 전문직 종사자 등으로 연 회비 30만원 월 최소한도는 1000만원이다.현대카드는 이 카드에 마스터카드의 `다이아몬드 등급`을 세계 최초로 도입했다. 이 등급은 기존의 플래티늄보다 한단계 높은 등급.장윤석 마스터카드코리아 사장은 “다이아몬드 카드는 기존의 VIP카드의 혜택을 업그레이드 해 실질적으로 고객이 원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퍼플 카드 회원이 동남아, 중국 7개 지역 왕복 무료 항공권을 구입하면 동반자에게 왕복 항공권이 매년 제공된다. 또 9개 샹그릴라 호텔에서 하루 무료숙박권도 준다.포인트는 M포인트와 항공 마일리지를 동시에 쌓아준다. 전국 모든 가맹점에서 적립되는 M포인트는 0.5~3%, 마일리지는 1000~1500원당 1마일이 쌓인다. M포인트를 항공 마일리지로 전환할 수도 있다.항공권은 최고 35%까지 할인되며, 괌, 코타키나바루, 중국 하이난 리조트 등의 골프장 그린피 무료, 국내 25개 특1급 호텔에서 객실비를 최대 35%까지 할인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