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통계라는 변명에도 오류의 가능성
-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 동시 봐야

 
양적 연구는 계량적 연구라고도 하는데 인간 사회의 여러 가지 현상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사회과학에서 많이 쓰는 방법론이다. 사회과학은 경험적이고 실증론적인 방법을 통해 사회의 다양한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노력의 산물이다.
 
여론조사는 그러한 사회‘과학’적 연구방법론이 선호하는 방식이다. 인간사의 모든 것을 연구자가 따라다니며 관찰할 수는 없지만, 대신 물어볼 수는 있고(여론조사) 그 대답을 모아서 분석(통계)할 수는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듯이 과학이나 통계라는 말이 붙더라도 오류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과학적 실험이라 하더라도 어쩔 수 없는 오차는 존재한다. 여론조사에서 말하는 신뢰수준과 오차범위라는 것도 응답자의 특성이 정규분포라는 수학적 배열에 따를 것이라는 가정 아래서 계산한 것이다.
 
1000명을 조사한 여론조사에선 조사결과의 오차범위가 95%신뢰수준에서 ±3.1%이다. 유권자 1,000명을 조사했을 때 A후보에 대한 지지율이 50.0%라는 기사의 문구를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A후보의 지지율이 46.9%~53.1%사이에 있을 가능성이 95%라고 해야 한다.
 
만약, 이 조사에서 A후보가 48.0%, B 후보가 52.0%의 지지율을 얻었다면 B후보가 4.0%p 앞서는 것같이 느껴진다. 하지만 실제 두 후보의 지지율의 범위는 A후보 44.9%~51.1%, B후보 48.9%~55.1%로 겹치는 부분(48.9%~51.1%)이 있다.
 
따라서 B가 A보다 지지율이 높다고 할 수 없다. 지금도 다수의 기사들이 어느 후보가 1%p높아도 선거에서 승리한 것마냥 선전하는데, 오차범위만 이해해도 선동적인 기사들을 피할 수 있다.
 
양적인 문제 다음으로 질적인 요소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우리가 어떤 책의 내용을 알기 위해선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다른 사람이 요약한 내용을 보는 것이고 두 번째는 책을 직접 읽는 것이다. 요약문만으론 책의 내용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요약한 사람의 편견이 들어갔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여론조사도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유권자들은 여론조사 보고서를 본 것이 아니라 여론조사 결과에 관한 기사를 본 것에 불과하다. 유권자들은 기자가 정확하게 기사를 썼는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공표된 선거여론조사의 설문지와 보고서를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워윈회’ 누리집에서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다. 최근 특정 지자체장에 대한 지지도를 조사하기 위해 선택지를 10개 이상 불러주는 질문을 4개 연속으로 배치한 조사가 공표된 적이 있다.
 
이 조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유권자들이 보았다면 결과에 대해서 신뢰할지 의문이다. 선거가 가까워 올수록 경각심을 지녀야 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