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사석 시설, 2년 만에 바지락 치패 다량 발견.. 올 바지락 150톤 생산 기대

[일요서울|인천 조동옥 기자] 인천시 수산기술지원센터가 옹진군 영흥면 선재어촌계 바지락 양식장 어장 예찰 및 자원량 조사를 실시한 결과 그동안 쏙의 번식으로  사라졌던 바지락 자원이 일부어장에서 회복되고 있다고 밝혔다.

쏙(Upogebia major)은 갯가재를 닮은 갑각류로 갯벌 속에 서식하는데, 번식력이 매우 좋은 쏙이 바지락과 서식지와 먹이가 겹치다보니 쏙이 대량번식하는 곳은 바지락이 자취를 감추었다.

쏙은 현재 인천에서 전북에 이르기까지 서해안 갯벌의 바지락 양식장에 광범위하게 서식하고 있으며, 갯벌에 구멍을 뚫어 그 속에서 사는 쏙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바지락이 살 수가 없는 환경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쏙의 퇴치를 위한 방법으로 갯벌위에 왕사를 뿌린 후 갈아주는 경운 작업, 갯벌에 그물코가 작은 생분해성 어망을 깔아 활동을 차단하는 작업 등을 추진하였으나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2015년도에 양식장 內 사석이 산재해 있는 곳은 쏙이 서식하지 않은 것을 착안하여 30ha 면적의 어장에서 7ha의 면적에 30~40cm 규격의 사석을 시설 후 2년이 경과하여 확인한 결과, 사석이 시설된 지역에서는 쏙이 완전히 자취를 감추고 4~1,796/㎡ 개체의 바지락 치패(새끼 조개)가 다량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수년간 쏙 발생으로 인하여 바지락 채취가 전무하였던 선재어촌계어장에서 2017년 바지락 중간패 77톤을 생산하여 1억3천만 원의 수익을 올렸다.

또한 바지락 자원량 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재 100여 톤의 바지락이 서식하고 있으며, 바지락이 서식할 수 있는 적정한 조건으로 환경개선 및 자원이 회복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올해는 바지락 150여 톤이 생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 수산기술지원센터는 “이러한 결과를 해당 기관 및 어촌계에 알려 쏙 구제 사업에 대한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 인천광역시 수산자원연구소 등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어업인 소득향상을 위하여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