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13일 지방선거가 며칠 남지 않았다. 이번 지방선거의 가장 큰 특징은 무관심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선거의 여론보다는 12일에 열리는 북미회담에 더 많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언론에 공표된 여론조사가 유권자에게는 최소한의 선택 기준이 될 수 있어, 무선 여론조사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보고자 한다.
 
여론조사의 DB변천사는 KT유선번호부터 시작한다. KT에서 제공하는 전화번호부를 사용한 여론조사가 2010년까지 유지되어 왔다. 하지만 2010년 지방선거에서 결과와 차이가 크게 남에 따라 RDD(임의전화걸기)유선전화로 번호 영역이 넓어진다.
 
이유는 KT 외의 통신사 전화번호가 발생함에 따라 빠짐없는 모집단 확보 차원에서 RDD유선번호가 도입된 것이다. 이어서 2012년 RDD무선전화가 도입된다. 이는 가구전화 비율이 낮아짐에 따라, 그리고 20~30대 응답자 확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하지만 RDD무선전화의 한계는 전국단위 여론조사와 서울이나 경기까지만 가능하다는 측면이 최대 약점이었다.
 
이에 선관위에서는 안심번호를 유료로 제공함에 따라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다수의 조사에서 안심번호가 사용되고 있다. 결국 유선가구 비중이 낮아지고, 외부에 있는 시간이 많은 20~30대의 응답비율을 높이기 위해 무선전화가 도입됐고, 안심번호까지로 확대된 것이다.
 
그렇다면 무선전화 여론조사가 모집단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가? 꼭 그렇지만은 않다. 최근 스마트폰 보급률이 거의 100%에 가까워짐에 따라 여론조사의 본질이 흐려지고 있다.
 
여론조사는 불특정다수가 모집단이 되어야 한다. 특정계층, 특정지지층이 모집단으로 잡힐 경우 수치는 크게 왜곡된다.
 
하지만 지금 사용하는 다수의 스마트폰에는 스팸어플이 장착되어 있고, 이 기능으로 인해 응답자는 사전에 여론조사를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받을 수도 있고 안 받을 수도 있는 선택에 의한 조사 참여가 이뤄지고 있다.
 
이는 과거 조사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답거부, 이탈과는 다른 성격이다. 모집단 자체가 때때로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서 때로는 매우 심각해질 수 있다.
 
유선전화에서 무선전화로 확대된 이유는 바로 모집단을 정확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일부의 계층이 누락되는 것을 막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하지만 무선전화 여론조사가 다시 모집단의 객관성을 해칠 수 있다는 점에서 조사기관과 언론 등에서는 반드시 짚어볼 과제다.
 
현재의 선관위는 성, 연령, 지역의 응답수로만 공표기준을 정하고 있다. 모집단의 정확성에서는 아직 확실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지 못하다. 지금과 같이 정치적 편차가 큰 시기에는 모집단의 정확성이 매우 중요한 측면임에도 불구하고 기준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에 수수방관하고 있는 샘이다.
 
최근 문재인 정부에 들어오면서 보수층이 여론조사에 잡히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자주 나온다. 보수층 자체가 응답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지금은 조사기관 스스로가 매우 정교한 조사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무선조사는 무조건 정확하다고 하기에는 스스로 응답을 거부하는 지지층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