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 지역별 최초 판세분석

▲ <정대웅 기자> photo@ilyoseoul.co.kr

지역구 85석·비례 20석… 역대 최악 성적 위기
여권 보수층 결집, 야권 공천분열 ‘120+α’ 자신

새누리당(옛 한나라당)의 4·11 총선 참패 위기감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총선이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이지만, 새누리당은 ‘돈봉투’ 사건으로 인한 박희태 국회의장 사퇴 등 계속되는 악재에 허덕이고 있다.

게다가 ‘MB 실세 용퇴론’과 ‘영남권 중진 용퇴론’ 등 공천과정에서 불거진 갈등으로 집단 탈당 사태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13일 창당한 ‘국민생각’(가칭)도 보수의 분열을 막아야하는 새누리당으로서는 넘어야할 과제다.

특히 이번 총선 결과는 새누리당을 책임지고 있는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대권가도에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여 더 주목되고 있다. 새누리당 총선 참패 시에는 ‘박근혜로는 안 된다’는 인식이 팽배, ‘대권후보 교체론’까지 나올 수 있다는 분석마저 공공연하게 나온다. [일요서울]은 총선을 50여일 앞두고 여론·선거 전문가들로부터 지역별 총선 판세 분석을 통해 총선 의석수를 전망해봤다.

수도권 111석 中 27석
서울·인천 8석, 경기 19석


새누리당이 수도권에서 고전할 것이라는 게 정치권 안팎의 공통된 견해다. 당내에서조차 탄핵 역풍 속에 치러진 17대 총선보다 이번 총선 결과가 더 참혹할 것이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오고 있는 게 현실이다.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이를 잘 입증해주고 있다. 범야권 단일후보인 박원순 후보가 53.2%를 얻어 46.4%를 얻은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를 7.2%p 차이로 꺾고 승리했다.

당시 선거에서 주목할 대목은 서울지역 25개구 가운데 21개구에서 범야권이 승리했고, 총선 지역구로 환산할 경우 한나라당은 48곳 중 7곳 밖에 승리하지 못한다는 결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게다가 휴일에 치러지는 총선 투표율은 재보선에 비해 오를 수밖에 없어 20~30대 투표율이 부쩍 상승할 경우 새누리당은 더욱 고전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윤희웅 KSOI 조사분석실장은 [일요서울]과 만난 자리에서 “이번 총선에서는 SNS를 통한 정치 참여열기가 높아지고 정권 말 심판정서가 고조돼 18대 때 46%였던 투표율이 이번엔 60% 내외로 높게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번 총선 비교대상으로 회자되고 있는 지난 17대 총선에서는 열린우리당이 32석, 한나라당이 16석을 가져갔다. 하지만, 당시 선거는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의 1대 1 대결 구도가 아니었다. 지역구마다 민주당 후보가 출마했고, 민주노동당 후보도 출마했다. 한나라당 표는 집중된 반면 야당 표는 분열됐다는 얘기다.

당시 열린우리당이 민주당 후보와 분열하지 않았다고 가정할 경우 총선 결과는 전혀 달라진다. 한나라당이 승리했던 종로구, 중구, 용산구, 동대문을, 서대문을,  영등포갑, 영등포을, 송파을, 강동갑 등은 한나라당 득표보다 ‘열린우리당+민주당’ 후보의 득표가 더 많다.

결국 한나라당은 지금의 야권 쪽에 9곳을 더 내줄 수 있었다는 얘기다. 한나라당이 ‘열린우리당+민주당’ 후보보다 더 많은 득표를 한 곳은 원희룡 의원이 출마한 양천갑과 강남권인 강남갑·을, 서초갑·을, 송파갑 등 6곳에 불과하다.

인천 지역도 상황이 녹록치 않다. 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은 연수(황우여)와 남동갑(이윤성), 서·강화을(이경재) 3곳에서만 승리했다. 하지만, 이 지역 의원들은 모두 4선의 중진으로 불출마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달 P&C에서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는 새누리당이 인천 서·강화을 1석만을 차지한다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특히 2010년 6·2지방선거에서 야권은 단일화의 위력을 과시하면서 인천시장과 구청장, 시의원, 구의원을 싹쓸이 하다시피 했다. 이러한 분위기가 이번 총선에서도 그대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경기 지역은 서울, 인천과 마찬가지로 현재 분위기가 새누리당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18대 총선 이후 치러진 3곳의 재보선에서 민주당이 모두 이겼다. 특히 지난해 4·27 성남 분당을 보궐선거 결과는 이변에 가까웠다.

지난 6·2지방선거를 기초로 이번 총선판세를 예측해보면 성남 분당과 의왕·과천, 경기 동부권(연천·포천, 양주·동두천, 양평·가평, 남양주, 광주, 여주, 이천, 안성)이 그나마 새누리당의 승리 가능성이 있는 지역으로 꼽히고, 부천, 안양, 수원, 용인, 고양, 의정부, 안산 등 주요 도시에서는 야권의 승리가 예상된다.

이를 의석수로 환산하면 총 51석 중 민주당 등 야권이 30석 내외, 새누리당은 20석 내외로 추정된다. 이는 지난 17대 총선 (총 49석, 열린우리당 32석, 한나라당 17석)과 비슷한 수준이다.

PK 41석 중 30석, 부산·경남 25석 울산 5석

새누리당의 수도권 참패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PK(부산·경남)는 TK(대구·경북)와 함께 꼭 수성해야만 하는 지역이다. 이미 민주통합당 등 야권이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사상)을 비롯 문성근 최고위원(북강서을), 김정길 전 장관(부산진을), 김경수(경남 김해을) 등 친노(노무현)세력을 내세워 ‘야도 탈환’을 꿈꾸는 있는 것도 새누리당으로서는 부담이다.

부산은 현재 조경태(사하을) 민주통합당 의원을 제외한 17곳이 새누리당 의원이다. 하지만, 동남권신공항 무산과 부산저축은행 사태 등 MB정권에 대한 민심 이반이 심각한 상황이라 총선 전망이 그리 밝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 실시한 각종 여론조사에서 현역 의원 재지지율이 20%내외로 낮게 나오고 있고, 야권단일화 후보를 선택하겠다는 유권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 이를 방증하고 있다.

18대 경남 총선에서는 김해을(최철국)과 사천(강기갑), 창원을(권영길) 3곳에서만 야권 후보가 당선됐다. 하지만, 이번 총선에서는 야권 단일화 바람을 일으켜 새로운 바람을 몰고온다는 야심찬 전망을 내놓고 있다. 김두관 경남지사는 야권이 경남에서 7석을 차지할 수 있다고 공공연하게 밝히고 있다. 김해, 창원, 양산, 거제 등 도시 지역이 야권의 주된 타깃이다.

울산 지역은 새누리당이 북구와 동구에서 야권과 치열한 접전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이 만약 PK에서 두 자릿수 이상의 의석을 빼앗긴다면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대선가도에 상당한 부담이 될 전망이다.

윤희웅 실장은 “새누리당이 PK에서 10석 이상 내주면 여권 내에서 ‘박근혜로는 (대선이)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TK 27석 중 23석

15대 총선 때 경북에서 민주당이 1명 당선(안동, 권오을)된 것이 기적일 정도로 대구·경북은 야당이 당선을 기대하기 힘든 새누리당의 전통적인 텃밭이다. 그렇지만 새누리당 공천이 당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18대 총선에서 공천 학살에 반발한 친박계 인사들이 탈당해 친박연대로 4명, 무소속으로 6명이 당선됐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이 얼마나 잡음 없는 공천을 해내느냐에 따라 의석수 변화는 유동적일 것으로 보인다.

야권이 대구지역 야당과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2012 범야권시민연대’를 발족하고 본격 활동에 들어간 것도 주목할 만하다. 또한, 김부겸 민주통합당 의원이 나선 대구 수성갑과 이재용 전 환경부 장관이 무소속으로 나선 대구 중남구 지역도 관심 지역이다.

충청 24석 중 2석

대전과 충남은 새누리당에게는 전통적인 약세 지역으로 꼽힌다. 새누리당은 15대 총선부터 18대 총선까지 대전(16대, 대덕구 김원웅)과 충남(17대, 홍성예산 홍문표)에서 각각 단 한 명만의 당선자밖에 내지 못했다.
이런 이유로 충청권은 타 지역보다 새누리당의 인물난이 심각하다. 이완구 전 충남지사의 불출마선언이 더욱 뼈아프게 다가오고 있는 상황이다.

새누리당은 그나마 충북 지역에서 의석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7대 총선에서는 전멸했지만, 18대 총선에서는 1명(제천단양 송광호)을 당선시켰다. 그나마 제천·단양, 보은·옥천·영동, 증평·진천·괴산·음성 등 3곳만이 승리 가능성이 있는 곳으로 전문가들은 꼽고 있다.

강원 8석 중 3석, 호남·제주는 ‘전멸’

강원도는 북한과의 접경지역이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가장 보수적인 지역으로 손꼽혔다. 총선에서 보수정당이 승리하는 게 당연하다고 여길 정도였다.

그런데 민주당이 여당이던 16대부터 변하기 시작했다.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민주당 사람들이 강원도 여기저기서 당선되기 시작한 것이다. 18대에도 2명이 당선됐고, 지금은 8명의 의원 중 3명이 민주당이다. 민주당의 간판스타 이광재 전 도지사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2010년 10월 태백·정선·영월·평창 보궐선거에서 민주당 최종원 후보가 당선됐고, 지난해 4·27 도지사 재선거에서도 민주당 최문순 후보가 이겼다. 민주당이 강원도에서 파죽지세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만큼 새누리당은 이번 총선에서도 고전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P&C 여론조사에서도 9곳(원주 분구 가정) 중 새누리당은 속초고성양양과 철원화천양구인제, 홍천횡성 3곳에서만 승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호남 31곳(광주 8석, 전남 12석, 전북 11석)과 제주 3곳은 17대와 18대에 이어 이번 총선에서도 새누리당 당선자의 이름을 찾아보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 105석 예상

이를 종합해보면, 새누리당은 지역구에서 85석을 얻는데 그친다는 결론에 이른다. 최악의 상황에서 치러졌다는 17대 총선(지역구 100석)보다 못한 성적표다. 선거구 획정에 따라 비례대표 의석수(현재 54석) 조정이 불가피하겠지만, 최대한 가져올 수 있는 의석수가 20석 정도에 불과하다. 결과적으로 새누리당의 최종 의석수는 105석 정도라는 것이다. 총선 참패다.

새누리당이 심리적 마지노선인 120석 미만의 의석수를 가져갈 경우 총선을 전면에서 진두지휘했던 박근혜 위원장의 대선가도에 ‘빨간불’이 켜질 전망이다. 자칫 당내 박근혜 견제 세력들로부터 2002년 노무현 후보 교체론이 일었듯이 ‘박근혜 후보 교체론’도 거론될 수 있다는 반응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일요서울]과 만난 자리에서 “한나라당이 당명을 바꾸고 쇄신을 한다고 하지만, 진정한 쇄신은 박근혜 위원장이 기득권을 내려 놓는 2선 후퇴가 선행돼야 한다”면서 “새누리당은 결국 4월 총선에서 100석 이하의 참패를 맛볼 것이고, 당 내부로부터 대선 플랜(박근혜 후보)에 대한 전반적인 조정이 필요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친박 진영에선 17대 탄핵바람에도 박 전 대표가 나서 120석을 넘겼다는 점을 들며 ‘참패론’보다는 ‘선전론’에 무게감을 싣고 있다. 그 근거로 ▲보수층 결집 ▲야권 공천분열 ▲견제심리 등에다 박 위원장의 ‘대중 지지도’를 들며 최소 120석에서 130석까지 기대한다는 것이다.

<조기성 기자> kscho@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