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을 위한 직관력, 불합리한 주식시장 극복 열쇠

직관의 발현, 평소 경제와 투자에 대한 지식과 민첩한 감수성 필요
직관력을 키우고 발휘될 수 있는 환경을 주기적으로 스스로에게 제공

주식시장이 현란한 차트와 과학적인 데이터, 합리적이고 예측 가능한 확고한 이성에 의해 움직인다고 가정해보자. 수많은 주식 관련 서적들을 탐독하고 자칭타칭 증권전문가들의 강연에 귀를 기울이며 거시적 혹은 미시적 경제지표를 살펴본다면 모두 성공적인 투자자가 되어 매일 승리의 축배를 들 것이다.

그러나 주식시장의 실제 모습은 차트가 설명해주지 않는 상황이 훨씬 많고 전문가조차 예상하지 못한 일들이 수시로 벌어진다. 그 결과 많은 투자자들이 곤란한 지경으로 내 몰린다. 왜 이러한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며 그 해법은 무엇일까?

산업을 지탱하고 후원하던 금융업이 이제까지 맡아왔던 본연의 역할 외에 스스로 산업으로 성장했다. 금융산업, 금융공학이라는 말이 더 이상 낯설지 않게 됐고 재테크는 어느덧 일상이 됐다. 최첨단 기법에 의해 고안된 현대의 금융상품과 더없이 복잡해진 투자환경은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투자 자세와 의식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투자자들이 17세기 네덜란드의 튤립 투기 광풍시대에 여전히 머물고 있음은 비극이다.

바둑 격언에 “묘수를 세 번 두면 진다”는 것이 있다. 묘수는 기발한 착상으로 돌을 살리거나 죽이기도 하고 전세를 역전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계속된 묘수로 바둑을 이기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화려한 묘수를 구사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합리적인 착점을 일관되게 찾아내는 능력이 세계 최강인 이창호 9단은 이렇게 말했다. “한 건에 맛을 들이면 암수(暗手)의 유혹에 쉽사리 빠져들게 된다. 정수(正手)가 오히려 따분해질 수 있다. 바둑은 줄기차게 이기지 않으면 우승할 수 없고 계속 이기기 위해서는 괴롭지만 정수가 최선이다”

개인투자자들의 투자금은 집안에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숨겨놓고 있지 않은 이상 대부분 일정규모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잘못된 한 번의 투자가 영영 회복불능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 그래서 줄기차게 승리할 수 있는 장기투자 그리고 가치투자가 정답이지만 반면에 동일한 이유로 한방에 목을 매기도 한다.

주식시장은 일정 부분은 투기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간혹 쏠림에 의한 지수의 왜곡이 초래되고 더러는 작전세력에 의해 특정 종목이 시장의 주목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시장 전체 규모로 보아 지엽적이고 특수한 상황이다. 언론은 이 특수한 상황을 앞 다퉈 보도함으로써 마치 일반적인 것처럼 오해하게 만드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것은 언론의 속성이기 때문에 탓할 바는 아니다. 언론이 매일 같은 소식을 뉴스라고 보도할 수는 없지 않은가? 

아무튼 이 특수한 상황을 일반적인 것으로 투자자 스스로 오도하기 때문에 ‘한방'이라는 묘수에 매달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묘수에 매달리는 것은 투기꾼의 행태이지 투자자의 자세는 아니다. 한방의 무용담을 자랑하는 투기꾼치고 끝까지 살아남았다는 이를 본 적이 있던가? 정수에 의한 투자만 하기에도 바쁘고 갈 길이 멀다. 그리고 괴롭지만 이 방법이 투자의 세계에서 오래 살아남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이동윤 현대증권 시화지점장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