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은 이미지 아닌 콘텐츠 대결…“김두관은 미래 지도자”

▲ 대선출마를 선언한 손학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국제회의장에서 한살림연합 등 관련단체 주최로 열린 '세계 협동조합의 해 기념 심포지엄'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서울=뉴시스>
[일요서울|고동석 기자] 대선 출마를 선언하고 당내 후보 경선에 뛰어든 민주통합당 손학규 상임고문은 21이번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는 승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손 고문은 이날 오전 PBC 라디오에 출연해 왜냐하면 같은 방법으로 두 번 이길 수 없기 때문이라고 이같이 밝혔다.

이는 노무현 전 대통령과 동일한 지향점을 표방하고 있는 문재인 상임고문은 2002년 대선의 재탕 성격이 짙다는 일침으로 풀이된다.

손 고문은 “2002년 노무현 대통령 방식이 이번에도 또 통하느냐고 반문하면서 아니다. 그때는 PK(부산·경남)지역에서 더 많은 표를 끌고 와야 이긴다는 것이었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중간층을 얼마나 많이 끌어오느냐, 특히 수도권에 널리 퍼진 중간층을 얼마나 끌어오느냐는 싸움으로 보여진다고 해석했다.

이는 곧 시대적 상황이 그때와 다른 것이 지역 표심으로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손 고문은 중도층을 적극 공략해 기존 여당의 텃밭이었던 경기 분당을에서 승리했던 지난해 4·27 분당 재보선 전략이 역시 유효할 것이라는 견지에서다.

손 고문은 당시 분당에 민주당 고정지지층이 30%가 안됐다. 한나라당 지지층이 50% 넘었을 것이라며 그런데 제가 50% 넘게 지지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한나라당을 지지했던 중간층이 손학규라면 괜찮다고 했던 믿음을 가졌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대통령)선거는 지역구도가 아니라 분당선거와 같은, 중간층 지지를 얼마나 끌어올 수 있느냐 하는 판가름이라고 생각한다고 내다봤다.

또 문재인 상임고문과의 경쟁 구도에 대해서도 제가 지금 대선에 출마하면서 보고 가는 것은 오직 국민이라며 문 고문은 동반자다. 함께 힘을 합쳐서 정권교체를 하고, 그러고 나서 성공하는 민생정부, 복지정부를 함께 이끌어가야 할 동반자라고 강조했다.

대선 출마 선언을 앞두고 있는 김두관 경남지사를 두고선 소중한 자산이라고만 했다. 그런 뒤 이장에서부터 군수, 도지사를 했다. 김 지사를 문 고문의 대체자로 보는 경향이 있지만, 대체자가 아니라 민주당의 미래 지도자로 키워야 할 재목이라며 올 대선 후보로는 염두에 두지 않는 듯 보였다.

안철수 서울대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민주당 내에서 흘러나오는 원샷 경선에 불쾌감을 표출한 것에 대해선 그 문제는 안 원장 자신의 결정사항이 될 것이고, 다른 사람들이 이래라 저래라 할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도 안 원장의 대권의지와 역사적 사명이 단순히 당선 여부를 점치는 선에서 결정할 문제가 아니라고 꼬집었다.

손 고문은 내가 과연 이 어려운 때에 이 나라를 제대로 운영하고 잘 경영해 나갈 수 있을 것인가, 절망과 좌절에 빠져있는 국민에게 희망을 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역사적인 사명감을 갖고 결심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아직 반등 기미가 보이지 않은 저조한 지지율에 대해선 급하게 먹으면 잘못하면 체하는 것이라며 아무리 급하다고 바늘허리에 실 매어 쓸 수 없다고 대꾸했다.

대선후보 지지율에 대해선 거듭 이번 선거는 지금까지 이미지 대결이었을지 모르지만 선거가 구체적으로 다가올수록 콘텐츠 대결이 될 것이라며 강조했다.

누가 우리 국민을 더 잘 먹여 살리고 안정적으로 복지정책을 이끌어 나갈 것이며, 복지를 하면서도 경제성장을 이끌어 내고,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낼 수 있느냐의 구체적인 콘텐츠 싸움이라는 게 손 고문의 판단이다.

그는 통합진보당과의 야권연대에 대해선 누구와 공동정부를 하겠다, 누구와 단일화하겠다 하는 것은 우리 스스로가 우리 능력이 없다는 것으로 자복하는 것이라며 이렇게 자신이 없는 후보와 당을 누가 찍겠나고 다소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새누리당이 지난 총선 때 당원명부가 유출돼 경선부정 사건으로 번지고 있는 것에는 “"당원명부가 특정 후보에게 유출되고 경선 결과에 명백한 부정선거라고 규정하고 사실일 경우 국민에게 사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kds@ilyoseoul.co.kr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