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역사를 바로 알아야 하는 것은 역사의 기록에 의해 ‘어제’를 돌아볼 수 있고, ‘오늘’의 진리를 터득하며, ‘내일’을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문제가 간단하지만은 않은 것은 역사란 객관적으로 진실성이 있어야 하는데 수천년 전부터 왜곡되고 거짓이 심해 후세 사람들이 고개를 갸우뚱거린다는 사실이다.

막무가내식의 얼토당토 않는 억지 주장도 있다. 만약 다른 나라에서 귀에 거슬리는 내용을 발표하면 토론 이전에 민족감정부터 앞세워 들고 일어나기 일쑤다. 혹 자국의 양식 있는 어떤 학자가 같은 논리를 전개하면 언론 등에서 여론의 몰매를 가한다. 언제나 역사는 승리자의 편에 섰다. 이런 역사 편향이나 왜곡현상은 아주 먼 고대사회부터였다.

공자도 사실 그 자체를 기록에 남겨야 한다는 이른바 춘추필법(春秋筆法)을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인접국가간의 같은 사건이 자기나라에 유리하도록 각기 다르게 기록돼 있는 현실이다. 고착의 관념은 역사적 진실에 부합되지 못하는 것이 오히려 진실이 돼버린 세상이다. 일본 사람들 거의가 독도를 자기들 땅으로 믿고 있다.

또 오늘날 놀부와 흥부가 다르게 평가되는 것처럼 역사 또한 그 해석에 따라 승자와 패자의 논리가 달라질 수 있다. 분단의 현실 속에서 수많은 한국인들은 적극적으로든 소극적으로든 간에 남과 북 어느 한쪽을 선택해야 했다. 그리고 자신의 선택지에서 때로는 자신의 꿈을 펼치기도 하고 때로는 좌절하고 순응하면서 각각의 체제 형성에 기여했다.

우리의 현대사가 좌익과 우익으로 편을 가르면서 서로를 적대시 해온 결과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시각에 따라 남북의 현대사를 살았던 인물들에 대한 평가는 극명하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 질곡의 역사 속에서 우리가 가져야할 교훈은 서로를 인정해야 한다는 점이다. 서로를 인정하지 않고 계속 갈등하고 반목하면 공멸할 뿐이다.

현실 논란을 부른 ‘5·16’과 ‘유신’에 관해서도 그렇다. 새누리당 홍사덕 전 의원의 “유신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권력연장보다 수출 100억 달러를 넘기기 위한 조치였다”는 주장이나 “박근혜에게 5·16을 묻는 것은 세종대왕에게 이성계를 묻는 것과 같다”고 한 발언이 연일 난타 당하고 있다. 경제성장이 독재정치를 정당화 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유신과 대척점에 있던 함세웅 신부가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을 “우리 모두의 은인”이라고 평가한 것도 균형 잡힌 시각이 아니었다. 아무리 정치적 목적이 지고(至高)한 것이라 해도 민주주의의 절차적 정당성을 우회해서 폭력과 불법이 합리화 될 수 없다. 박 후보는 5·16에 대해 “아버지로선 불가피한 선택”, 유신에 대해서는 “국민과 역사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내가 곧 정의’라는 이긴자의 오만이 언제나 역사를 왜곡 시켜왔기에 내일도 이긴자에 의해 왜곡된 역사가 또 만들어 질 것이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