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교육청이 역사교사 17명을 동원해서 발간한 책에 간도를 조선땅으로 기술해 놓았는가 하면,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은 진국(振國)왕으로 불린 고구려왕으로 기록한 사실이 며칠 전 언론에 보도됐다. 이에 대해 일부 오류가 있었으나 다양한 논문과 자료를 인용해 책을 만들었다는 관계자의 입장 표명이 나왔다.

‘미래를 결정짓고 싶다면 과거를 공부하라’는 공자 말씀이 있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 도를 넘어섰다. 역사적 근거가 확실한데도 일본이 지속적으로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역사에 별 관심 없는 우리 형편을 냉소하고 있지 않나 싶다. 중국은 우리와 국경 안에서 전개된 모든 역사를 중국의 역사로 편입하려는 연구 프로젝트인 동북공정을 통해 역사왜곡에 나서있다.

역사왜곡이라고 하기보다 우리의 민족문화를 중국의 문화로 만들어가는 작업과정으로 봐야한다. 아리랑을 중국 문화유산으로 지정하고 중국의 세계문화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를 요청해놓고 있다. 또 조선족을 위한다면서 한글을 중국 소수민족 언어로 지정한 상태다. 이에 맞서는 일이 국가차원의 무슨 특별위원회 같은 것이 아니라 국민 의식에 관한 사항일 것이다.

이 정부는 2009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라 정규교육과정 중 국사를 선택과목으로 만들었다. 고등학생들이 애써 한국사를 익힐 필요가 없어졌다. 여론이 들끓고 일어나자 겨우 작년에 국사를 필수과목으로 고시했고 올해 고교 입학생부터는 국사교육을 3년 졸업 때까지 85시간을 받도록 변경했다. 일부 기업이나 고시, 공무원, 교원 시험에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도입하는 다행스런 움직임도 나타났다.

그런데 수능시험에서 국사가 아직 선택과목이 돼있다. 이마저 2014년부터는 수능 선택과목이 3과목에서 2과목으로 줄어들게 된다. 국사가 더 등한시 될 노릇이 뻔하다. 나라의 역사는 학생들은 물론 모든 국민이 바로 알아야 국가관이 바로 선다. 일본은 오래 전부터 자국 역사교육 강화 및 체계화를 진행시켜 왔다.

수능시험에 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정하는 일이 여론의 향방에 따라 움직여질 일이 아니다. 나라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을 옳게 알지 못하면 역사전쟁에서 이길 수가 없다. 중국이 81년 전 만주사변 발발일인 9·18 국치날에 100여개 도시에서 대규모 반일시위를 벌였다. 성난 중국인들이 일본에 ‘선전포고’ 하자고 외쳤다. 우리는 1910년 8월 29일의 ‘경술국치’의 날을 아는 국민이 드물 것 같다.

오늘의 국제정세가 그때와 별반 다르지 않다. 중국은 힘을 앞세워 슬금슬금 고조선, 고구려 유산을 중국풍의 유물로, 변방의 역사로 편입하려는 음모를 빠르게 진행시키고 있다. 일본은 경제적 우위를 바탕으로 독도를 국제사법재판소(ICJ)로 끌어들여 분쟁지역으로 만들려는 꼼수를 구체화 하고 있다. 역사는 안 배워도 먹고 사는데 지장 없다는 생각은 나를 버리는 짓이다.

시대만 바뀌었을 뿐 같은 무대에 같은 인물이 등장하는 한반도 상황을 주시해야 한다. 지금 우리에겐 과거의 뼈아픈 역사를 성찰하며 한 단계 도약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지혜는 아픈 상처를 곱씹을 때 나온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