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대선 투표일을 사흘 앞두고 있다. 오늘 일요일 저녁시간 후보 간 세 번째 TV토론회를 끝으로 공중파 방송을 통한 후보 자질검증은 사실상 끝난다.

지난 월요일 두 번째 경제 분야 TV토론회에서 박근혜·문재인 후보가 제시한 각종 공약은 실현 가능성 측면에서 강한 의문부호를 남겼다. 경제민주화·일자리 창출 및 현란한 복지 공약들이 현실성 부족한 장밋빛 일색이었다.

우리나라 재정 상황은 턱걸이로 간신히 균형을 잡고 있다. 조금만 재정지출을 늘리면 적자로 돌아서는 것은 시간문제다. 빚내서 복지 하다 후 세대를 빚더미에 앉게한 그리스와 이탈리아의 교훈을 잊어서는 안 된다. 경제는 말로 되는 것이 아니다.

문재인 후보가 복지공약을 실천하려면 연평균 114조의 비용이 추가되고 박근혜 후보의 공약 실천에는 56조 원의 복지비용이 추가된다. 이를 어떻게 조성할 것인지에 대한 설명은 턱 없이 부족했고 포플리즘의 포로로 좌편향적 선동뿐이었다.

경제민주화 대목에서 재벌 개혁 등 반시장적 정책이 경제를 살리는 성장동력인 것처럼 강조한 것은 박, 문 두 후보 공통적이었다. 후보들이 경제 전반에 대한 위기의식을 갖고 있는지 조차 확신키가 어려웠다. 경제민주화가 실시 될 경우 당장 경제성장률이 0.5%포인트 하락하고, 상장기업의 56%는 경영권 불안정을 초래할 것이라는데도 후보들은 성장을 말하지 않았다.

이정희 후보는 ‘서민의 위기’라는 말로 위기의식을 강조했으나 박근혜 후보를 공격하는 2대1의 싸움에만 치중하여 1차토론 때와 같은 막무가내 근성을 나타냈다. 지지율 1%도 안 되는 이정희 후보의 대통령 후보 TV토론을 우리 유권자들이 왜 봐야 하는지, 안철수 전 후보의 중도 포기보다 더한 대통령이 될 생각 자체가 없는 사람의 정책, 소신을 애써 들어줄 이유가 법 때문이라면 악법도 그런 악법이 없다. 국민 모두를 무시하고 모독하는 짓이다.

정치쇄신은 바로 이런 점을 바로잡는데서 출발해야 한다. 잘못이 확연히 나타나 있는데도 시정치 못하면서 국민을 운운함이 어불성설이다. 더욱이 통합진보당의 의석수 5인 이상 되는 6인 의석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모르는 국민이 없다. 아무리 돈이 썩어나도 대통령이 될 생각보다는 다른 후보 떨어뜨리는데 혈안이 된 사람에게 혈세 27억 원을 쥐어준다는 것은 국민이 통분할 노릇이다.

TV토론은 직접적 효과 못지않게 간접적 효과가 만만치 않다. 토론 직후의 지지율 변화와 같은 미시적 효과 측정과 별개로 선거캠페인 과정 전반의 흐름에 영향을 주는 거시적 효과를 주목해야 한다. 야권의 지난 문재인·안철수 후보 간 TV토론은 당시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키며 지지율에 영향을 미쳤다. 이후 안철수 후보에게는 심리적 부담을 안겨주면서 후보사퇴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것으로 드러났다.

사퇴 후 안철수 씨가 문재인 후보에게 끌려나와 박근혜 후보와 2대1의 불공정 전선을 펼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이와 연관된다. 다음 정부의 어떤 임명직도 맡지 않겠다는 안철수 씨의 문 후보 지원엔 민주당 지지층의 성난 눈이 무서웠을 것이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