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면 먼지나기 마련이라는 우리말이 딱 맞다. 가까스로 지각 단행된 박근혜 정부의 첫 조각인사나 청와대 참모진 인사에 온갖 의혹수준의 말들이 많다.

와중에‘3대 경제권력’으로 불리는 금융위원회·공정거래위원회·국세청 인사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금융위·공정위·국세청은 박근혜 대통령이 그동안 경제공약으로 내건 가계부채 해소, 경제민주화, 지하경제 양성화를 실천할 핵심 기관들이다.

이들 기관의 수장 인선에 따라 의지가 드러나게 된다. 검찰총장 내정자 외 감사원장, 국정원장, 경찰청장 인선에도 국민 관심이 증폭하고 있다. 이들 중추적인 권력기관장 7명은 모두 국회 청문회 대상이어서 인선이 늦어져선 곤란하다.

더욱이 국정원장이나 국세청장은 임기제도 아니기에 작금의 정세를 감안하면 안보·경제정책을 다룰 이 두 기관 인선이 오히려 더 신속하게 이뤄져야 할 사항이다.

그러한데도 법률조항에 묶여 정부출범 이후로 인선을 미뤄야 했다니 2018년의 다음정권을 위해서도 법 개정이 이뤄져야 할 조항이다.

또 감사원장·금융위원장·공정거래위원장·경찰청장은 임기가 정해져 있지만 새 정부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자리를 떠나는 것이 관례적이었다. 이명박 정권 출범 때도 임기제 기관장을 대거 교체해 분위기를 쇄신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나 김동수 공정거래 위원장도 각각 임기가 1년이나 남았지만 사임의사를 밝혔다. 양건 감사원장은 2015년 3월까지, 김기용 경찰청장은 2014년 5월까지 임기가 남았지만 용퇴를 생각해야 한다. 새 술을 새 부대에 담기 위해서다. 어쨌거나 현재까지의 새정부 인선에서는 박근혜 새 대통령이 안정과 전문성을 중시한 나머지 탕평을 이루지 못해 국민에게 감동을 안기는 데는 실패했다.

감동보다는 우려를 자아내게 했다. 경제와 복지 부문에서 국정개혁을 추진할 컨트롤타워 기능에 강한 켓숀이 생겨있다. 더 주목할 점은 정부 조직의 신설로 부처 간 업무 영역다툼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새로 생긴 부처들이 국가사업에서 주도권을 행사코져 할 공산이 짙다. 공룡조직으로 나서는 미래창조과학부나 통상업무를 넘겨받는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간 업무영역 정리가 잘돼 있는지 궁금하다.

부처 간 밥그릇 지키기로 정책이 표류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 몫으로 떨어진다. 새정부는 역대 정부에서 있었던 부처 할거주의 사례를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 경제위기 극복 등 새정부가 시급히 해야 할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다. 더욱이 가계 부채와 부동산 경기침체, 자영업자 문제는 우리 경제에 시한폭탄과 같다.

각 부처 사이 이견을 시작부터 원활히 조정하지 못하면 큰 낭패가 올수밖에 없다. 이 문제는 대통령의 통치리더십만으로 안 된다. 총리와 경제부총리의 조종능력과 강력한 리더십이 중요하다. 청와대 조직이 또한 대통령 명령 받들기에만 급급하지 말고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는 때로 불가론을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박 대통령은 대통령 당선 다음날 “과거 반세기동안 극한 분열과 갈등을 빚어왔던 역사의 고리를 화해와 대탕평책으로 끊겠다”고 말하고 “모든 지역과 성별, 세대를 골고루 등용해 100%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이 꿈이자 소망”이라고 밝힌바 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