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주일만에 시총 수십조 원 증발...금융당국 "구제 방안 따로 없다"

[뉴시스]
[뉴시스]

[일요서울 ㅣ이범희 기자] 암호화폐 루나와 테라USD(UST)의 폭락 폭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막대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창시자 권도형 테라품랩스 대표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사과 입장과 함께  '테라 생태계 부활 계획'을 제안했지만 논란이 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피해자 구제가 쉽지 않다는 발표까지 나오면서 투자자들의 한 숨 또한 깊어지고 있다. 

- 루나 테라 상장폐기 재자 주목

루나와 테라가 상장폐지를 앞두고 있다. 미국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 업비트, 빗썸, 고팍스 등 국내외 주요 거래소들이 루나와 테라의 상장폐지를 염두하고 있다. 전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바이낸스는 루나의 상장폐지를 결정했다. 

16일 오후 3시 기준 코인마켓캡에에서 루나(LUNA)는 0.310원을 기록했고, 오후 5시 바이낸스에서는 0.00023달러로 사실상 제로 수준이 됐다. 지난달 기준 시가총액 50조 원을 기록했던 루나는 2조 원으로 시총이 줄어들었다. 

5월 초 본지와 만난 사업가 A씨는 "루나의 투자 폭이 수 천만원 떨어졌다. 이는 가상화폐에서 자주 겪는 일이라 지켜보고 있다"며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10일 다시 만난 A씨는 "20만 원까지 올랐던 것이 불과 5~6일 만에 1원이 됐다. 가족과 지인들에게도 추천했던 종목이 풍비박살이 나면서 그들 보기도 민망한 상태가 됐다"고 말했다. A씨와 함께 한 B투자자도 말을 잇지 못했다.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국내 거래소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4곳에서만 루나를 보유한 투자자 수가 17만명이 넘는 것으로 알려진다. 일부 외신은 루나 가격 폭락으로 불미스러운 선택을 한 사람도 발생했다는 보도를 내놓았다. 

- 루나 피해구제 방안 있나

피해자 수도 많고 피해 규모도 상당하지만 정부 차원의 구제 방안은 없는 상황이다. 

금융당국에서는 '개입할 법적 근거가 없다'는 게 공식 입장이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도 가상자산 거래소의 약관 중 불공정한 부분이 있는지만 볼 수 있을 뿐 테라-루나 사태와 관련해서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서도 가상자산과 관련해 소관하고 있는 부분은 없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사태가 심각한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앞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지난 3일 발표한 윤석열 정부 110대 국정과제를 통해 암호화폐(가상자산) 활성화 방안의 윤곽을 제시했다. 투자자와 소비자를 보호하는 법안을 마련하는 게 골자다.

윤석열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공약으로 `디지털자산 기본법`을 제정키로 한 바 있다. 디지털자산 기본법에는 대체불가토큰(NFT) 등 디지털자산·암호화폐의 발행, 상장, 주요 행위 규제 등 소비자 보호 및 거래 안정성 제고 방안이 담기게 된다. `디지털자산 인프라 및 규율체계 구축`이라는 목표 하에 투자자가 안심할 수 있는 투자 여건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금융당국과 이견 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어 이 법이 언제쯤 재정될 지는 지켜봐야 할 사안인다. 한 누리꾼은 "이 사태가 미칠 파장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주목하게 된다"며 "개인적인 의견으로 코인은 투자가 아니라 투기라 생각된다"는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한편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는 2018년 신현성 티몬 창업자와 함께 테라폼랩스를 설립했다. 테라폼랩스는 블록체인 테라를 개발해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축 암호화폐로 테라USD(UST) 스테이블 코인과 루나(LUNA)코인을 만들었다. 
 

권 대표는 지난 14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지난 며칠간 UST 디페깅으로 충격을 받은 테라 커뮤니티 회원과 직원, 친구, 가족 등과 전화 통화를 했다"며 "내 발명품이 모두에게 고통을 줘 비통하다"고 했다. 그는 블록체인 커뮤니티 아고라에 '테라 생태계 부활 계획'을 제안했지만, 업계는 믿지 않는 모습이다.

도지코인을 만든 빌리 마커스는 "새로운 희망자를 만들지 말고 영원히 업계를 떠나라"고 했다.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