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상저하고(上低下高)”… 美·中 경기회복 영향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의 2024년 경제 전망을 들어봤다. [이창환 기자]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의 2024년 경제 전망을 들어봤다. [이창환 기자]

[일요서울 | 이창환 기자] 2023년 한 해 우리 경제는 말 그대로 불안한 ‘외줄타기’였다. 코로나19 종식을 선언하면서 기대감은 컸으나, 상반기 서민경제를 비롯해 무역 부문도 어려움을 겪었다. 정부는 정책적 대응으로 하반기 경기 회복을 전망했으나, 국내 경기는 말 그대로 부동의 하행선이었다. 이는 앞서 2022년 10월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과의 인터뷰(1483호 참조)에서도 예측한 바 있다. 비로소 2024년에는 이를 넘어 경기가 나아질 것이라는 밝은 전망이 나온다. 비록 상반기에는 현재 상황이 이어지더라도 하반기로 갈수록 상승 곡선을 탈 것이라는 설명이다. 주원 실장은 이를 두고 ‘상저하고(上低下高)’라고 표현했다. 주원 실장 2024년 경기 전망을 들어봤다. 

정부의 2023년 하반기 국내 경제 여건 회복 전망은 빗나가
2024년 금리 안정 비롯 미국·중국 경기회복 이후 밝은 전망
숙제는 “저성장 기조 탈출하기 위한 성장잠재력 확충 시급”

- 이어진 물가상승과 경기 불안 속 서민들은 마음이 힘들었다. 2024년 한해를 어떻게 전망할 수 있을까.

▲ 금리 안정을 동반한 미국과 중국의 경기회복이 국내 무역회복을 중심으로 경기 상승을 이끌어 줄 것이라고 전망한다. 다만 2023년 9월경부터 이어진 국내 성장률을 볼 때 당장은 큰 변화가 없어 보인다. 그럼에도 하반기에는 이를 넘어서서 회복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고 있다. 

- 2023년 상반기 경제가 주춤하면서 정부는 하반기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지만, 사실상 답보상태였는데.

▲ 사실상 (정부의) 그런 예측은 다소 빗나갔다고 본다. 가계와 기업의 심리는 개선세가 정체됐다. 산업계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었고, 서민들 역시 경기 불안이 이어지면서 소비심리는 살아나지 못했다. 지속된 고물가·고금리 기조 속에서 실질적인 구매력 약화로 부진이 지속된 것으로 보는 것이 맞다. 

- 산업계와 가계의 심리 정체와 고물가 고금리의 원인은 무엇으로 보나

▲ 사실 對중국 수출 부진이 계속되면서 반도체 수출 하락세가 지속됐다. 이로 인한 침체 국면이 장기화된 바 있다. 수출증가율은 2022년 10월 이후 1년 넘게 감소했고, 최대 시장인 중국에 대한 수출 침체가 1년을 훌쩍 넘어간 것이 큰 원인이었다. 거기에다 고용시장까지 양극화를 보였다. 

- 고용시장 양극화란 어떤 의미인가.

▲ 이는 건설수주의 급락과도 관련이 있다. 건설비 상승 등에 따른 건설 수주 문제와 부동산 시장 위축 및 자금시장 경색 등으로 이어졌다. 또 이는 제조업이나 건설업을 비롯해서 청년층 및 핵심연령의 일자리 감소로 나타났다. 반면 일부 서비스업과 노년층과 장년층 중심의 일자리는 일부 증가하면서 산업간·연령층 간의 양극화가 눈에 띄었다. 

- 그렇다면 2024년 회복을 보일 수 있을까. 회복된다면, 얼마나 회복될까.

▲ 2024년 우리 경제는 글로벌 경기의 개선에 따른 회복으로의 전환이 소폭 기대된다. 그간 대내외 복합불황과 주요국 통화긴축 누적효과로 글로벌 경기둔화, 중국 경기의 침체 등과 같은 리스크 영향이 컸다. 그로 인해 국내 수출 경기 회복이 조금 지연되면서 2024년 경제성장률은 미미한 수준에서 잠재성장률(2.2%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  

- 경기회복 또는 성장할 수 있는 이유가 중국 때문인가.

▲ 결국은 미국과 중국의 경기회복이 우리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봐야한다. 미·중의 회복은 수출 경기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하반기가 되면서 우리 수출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경제에서 수출 최대 대상국이 미국과 중국이다.) 

- 현재의 금리 상황과 서민들의 소비심리는 어떻게 전망되나.

▲ 그사이 고금리 기조가 완화되면서, 금리도 내려갈 것이라고 판단된다. 민간소비는 금리의 피크아웃으로 인해 가계 소비 하방압력으로 작용했던 고금리 부담이 점진적으로 완화될 것이다. 이에 소비심리 개선, 양호한 고용여건 등으로 완만한 회복세가 예상된다. 다만 가계부문 누증된 부채와 그에 따른 이자 상환 부담은 민간소비 회복의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 그렇다면 건설과 설비 부문도 동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나.

▲ 맞다. 원부자재 가격 및 금융비용의 점진적 하락으로 건설투자가 증가세를 보일 것이다. 하지만 2023년 부동산 경기 위축에 따른 건설수주 부진이 시차를 두고 2024년의 건설투자에 대한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에 건설투자 증가세는 2023년보다는 다소 둔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회복기조도 좋지만 무엇보다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가다. 2024년 소비자물가 안정화도 가능할까. 

▲ 소비자물가 역시 전반적으로 상승세가 둔화될 것이다. 즉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산유국 감산 기조 지속에 따르는 유가 상승과 이상기후로 인한 농축수산물 수급 불안정성 및 공공요금 인상 등 공급 측의 물가에 대한 상방 압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상승세 둔화 폭을 다소 제한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만일 국내외 수요가 빠르게 회복세로 돌아서게 되면 물가 상승세가 다시 확대될 가능성도 함께 상존한다.

- 결론적으로, 경제 성장과 함께 경기의 약진이 이뤄질 것으로 보면 되나. 

▲ 앞서 말했지만, 경제 성장세가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복귀할 것이다. 그럼에도 우려 차단을 위한 정책 대안이 요구된다. 특히 경제 펀더멘탈(Fundamental)을 강화할 수 있어야 한다. 대외 리스크의 국내 전이를 차단하기 위한 노력으로 국내 통화 및 금융 시장 안정을 유지해야 한다. 경제 성장 엔진인 수출은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내수 회복 촉진을 위한 강도 높은 투자와 신기술·신산업에 대한 규제 완화 등 제도개선, 원자재 및 공급체계 안정화로 금융에 이르기까지 우려되는 악영향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상저하고(上低下高), 내년 상반기에는 다소 저성장이 이어지더라도 하반기 상승세로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 

2024년 경기회복이 전망되는 가운데 너무 빠른 회복세는 물가 상승을 동반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만된다. 사진은 명동거리. [이창환 기자]
2024년 경기회복이 전망되는 가운데 너무 빠른 회복세는 물가 상승을 동반할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만된다. 사진은 명동거리. [이창환 기자]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