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처 “범정부적 대응 필요”

공무원임용시험. [뉴시스]
공무원임용시험. [뉴시스]

[일요서울 | 박정우 기자] 최근 신규임용 공무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MZ 공무원들의 퇴사가 잇따른다. 이들은 낮은 보수와 높은 강도의 업무, 이에 따른 스트레스를 원인으로 지목하며 다른 업종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지난 2월28일 국회입법조사처는 ‘신규임용 공무원의 퇴직 증가: 보수 현실화, 유연한 공직문화 조성 등 범정부차원의 대응 필요’ 보고서를 통해 신규임용 공무원(입직 후 5년 이내)의 퇴직 증가 현황과 퇴직 원인을 살펴본 후, 개선과제를 제시했다.

최근 공직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하면서 공무원시험 경쟁률이 최저를 기록했다. 이와 더불어 신규임용 공무원의 퇴직도 계속 증가 추세다. 최근 5년간 전체 공무원 퇴직에서 신규임용 공무원의 퇴직이 차지하는 비율은 17.1%에서 2023년 23.7%까지 증가했다.

신규임용 공무원의 퇴직 증가는 단기적으로 인력 부족을 일으켜 업무 공백에 따른 기존 직원의 업무 과부화를 초래한다. 장기적으로는 공공조직의 대외적 위상하락과 함께 공무의 부실화로 이어질 수 있다. 조사처는 이를 두고 “일시적 현상이 아닌 구조적으로 접근해야 할 심각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MZ 공무원 ‘낮은 보수,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 호소

신규임용 공무원들이 높은 경쟁률을 뚫고 입사했음에도 퇴사를 결정하는 가장 큰 이유는 낮은 보수가 꼽힌다. 이어 공무원연금이 개혁되면서 안정된 노후를 보장받을 수 없다는 불안감도 커진다.

아울러 신규임용 공무원들의 주축을 이루는 MZ세대와 경직된 공직문화 간 괴리도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추가로 민원 등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의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도 이직 원인으로 꼽힌다.

서울 소재 행정복지센터 민원 응대 담당 공무원 A씨는 “공무원의 명성은 옛말이다. 일의 강도에 비해 보수가 너무 적다”라며 “그렇다고 복지나 근무환경이 좋은 것도 아니다. 특히 민원 응대를 하며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조사처는 “신규임용 공무원들의 퇴직 증가를 국가의 전반적인 운영과 관계돼 있는 중요한 문제라는 인식을 지니고 인사 부처만이 아니라 범정부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일요서울i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